연구/네트워크
Ad-Hoc Network 이란 ?
DS박사
2023. 3. 10. 17:20
■ Ad-Hoc Network 개념
- 고정된 기반 망의 도움없이 이동 노드들간에 자율적으로 구성되는 망으로, 네트워크에 자율성과 융통성을 부여한 네트워크
- 통신 인프라가 없거나 구축하기 곤란한 상황에서, 이동 노드들 간의 자율적인 경로 설정, 수정 그리고 의사소통이 가능한 네트워크
- 네트워크 토폴로지가 동적으로 변하는 특징을 가지고, 노드들에 의해 자율적으로 구성되는 기반구조가 없는 네트워크
이미지 출처 : https://ecomputernotes.com/computernetworkingnotes/network-technologies/ad-hoc-network
■ 특징
설명 | |
Peer-to-Peer 통신 | - 이동 ad-hoc 네트워크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분산된 이동 노드들 간의 통신지원 - 유선망 과 기지국(Base Station)이 불필요 하기에 유선망을 구성하기 어려운 환경에 적용 |
다중 홉 라우팅 (multi hop routing) |
- 단대단(End to End)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 각각의 이동 노드가 호스팅 기능 외에 라우팅 기능을 수행함 - 무선 인터페이스는 기본적으로 전송 대역폭 및 전송거리에 제약이 있으므로, 원거리 노드들간의 통신을 위해서는 다중-홉 통신이 필수적임 |
이동노드간 동적 네트워크 | - 동적인 네트워크 토폴로지 구성으로 노드의 일부 혹은 전체 노드가 연결되거나 삭제 될 수 있음 - 주변에서 데이터를 수신한 단말기는 저장한 후에 다시 브로드캐스트를 통해 주변 단말기로 전달함 |
Ad-hoc 전용 프로토콜 |
- 단말기 들의 이동성과 배터리 전력 제한, 다중 홉 무선 채널에 대한 채널 효과 등으로 기존의 유선망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을 그대로 사용하기 어려워 Ad-hoc에 적합한 프로토콜의 표준화 작업 |
불안정한 링크 |
- 대역폭 제한과 전파간섭 문제, 다중링크로 인한 보안 문제 - 브로드 캐스팅되는 라우팅 제어 메시지의 해킹 문제 |
■ 활용 환경
활용환경 | 활용사례 |
통신인프라 구축이 곤란한 상황 및 조건 | - 전쟁, 재난 구조(화재, 태풍 등) 광범위한 범위에 걸친 센싱(환경오염/ 산불감시) |
기존 기간망의 한계 보완 | - 특정 조건하에 이동 노드가 집중되는 장소 및 환경 (컨퍼런스, 공항) - 홈 네트워크 내에서 다양한 이기종 노드간 통신지원 - 유연한 멀티캐스팅 서비스를 통해, 이기종 노드간 화상 회의/ 미팅 지원 |
■기술
기술 | 내용 |
라우팅 기술 | 잦은 참여와 탈퇴의 자율성을 보장함. 브로드 캐스팅 및 멀티 캐스팅 라우터 |
저전력 기술 | 이동성의 전력공급의 제한성 지원 차세대 배터리 기술 |
멀티링크 기술 | 한 노드가 동시에 여러 노드와 연결지원 멀티링크지원 |
기기소형화 기술 | 센서 및 및 휴대 단말기의 소형화 기술, ASIC(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. 주문형 반도체) 반도체 기술 |
https://azurecourse.tistory.com/435